아무 생각이 없어요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 네트워크는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는 연결된 장치의 시스템이며 인터넷과 WWW(World wide web)는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의 핵심 구성 요소
네트워크 목적
1.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프린터 또는 스캐너 등의 주변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인터넷 회선을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가 편리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를 쉽게 백업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네트워크의 목적은 쉽고 간편하며 빠른, 자원(정보) 공유
Lan(근거리 통신망) vs Wan(광역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
사무실이나 빌딩처럼 비교적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LAN을 통해 건물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WIFI 공유기를 통해 노트북이나 핸드폰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것도 LAN
WIFI 공유기를 통해 컴퓨터에서 프린터에 연결하는것도 LAN
WAN (Wide Area Network)
서로 떨어져 있는 LAN 사이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광역 네트워크를 말한다.
WAN을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LAN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WAN 전용선으로 건물과 통신사 중계기(ISP)를 연결하는 것도 WAN
WAN 케이블로 네트워크 시스템(SDN)을 통해 미국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것도 WAN
OSI 7 계층은?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
OSI는 7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지만 오래된 TCP/IP 프로토콜은 4개의 계층만 가진다.
Physical layer (물리층)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층) Transport layer (전송 층) Application layer (응용 층) ⇒ 응용 층 = 7계층에서 응용, 표현, 세션을 합친 것
5~ 7 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성
각 계층 장비의 기준
각 계층 장비는 아래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
1계층(L1) 장비는 1계층 기능만 가진 장비이다. (인코더/디코더)2계층(L2) 장비는 1~2계층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이다. (L2스위치 / MAC주소)
물리적인 장비를 연결 *중요
3계층(L3) 장비는 1~3계층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이다. (라우터 = 중계노드 / IP주소)-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 *중요
4계층(L4) 장비는 1~4계층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이다. (L4로드밸런서 / 포트)
7계층(L5) 장비는 1~7계층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이다. (컴퓨터, 핸드폰)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연결은 케이블로 L2, L4 장비를 연결해 모두 연결한다.
L2 스위치가 L3 장비기능도 하고있음
L5 ~ L7 구간은 논리적인 SW 구간임
한번 얘기 하는 말
TCP / UDP 면접 단골
TCP = 신뢰 되는 (속도는 느림) - 로그인 패킷
UDP = 비 신뢰 (속도는 빠름) - 속도가 빠를 때 쓰는 프로토콜 (유튜브 영상)
대부분 100개 중의 100개의 프로토콜은 TPC와 UDP로 나눠짐 (전송계층=4계층)
하나의 서버는 하나의 IP를 가질 수 있는데 사실은 여러가지 Port를 가지고 있다
port 번호는 정해져 있다
IP를 사람이 읽을 수 있게 바꿔줄 수 있는게 DNS
SNTP를 알려면 네트워크 공부해야함(?)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0,1)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함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통신의 흐름을 관리 프레임(Frame)을 사용
프레임에 물리적 **주소(MAC address)**를 부여하고 에러검출, 재전송, 흐름제어를 수행
브리지, 스위치, 이더넷 등 여기서* MAC주소를 사용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
라우터(Router)를 통해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IP)** 경로(Route)에 따라 패킷을 전달 > IP 헤더 붙음 패킷(Packet)을 사용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두 지점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역할
신호를 분산하고 다시 합치는 과정을 통해서 에러와 경로를 제어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주 지점간의 프로세스 및 통신하는 호스트 간의 연결 유지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전송하는 데이터의 표현방식을 결정(ex. 데이터변환, 압축, 암호화 등)
파일인코딩, 명령어를 포장, 압축, 암호화
JPEG, MPEG, GIF, ASCII 등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최종 목적지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 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ex. explore, chrome 등)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
계층 기본구조
계층 1,2,3(네트워크 지원 계층)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면을 처리
계층 5,6,7(사용자 지원 계층)
- 관계 없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제공
계층 4(전송 계층)
- 네트워크 지원 계층과 사용자 지원 계층을 서로 연결**.** 네트워크 지원 계층이 전송한 것을 사용자 지원 계층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보장
스쿼드방(fit.한결튜터님)
리눅스에서 top를 치면 작업 관리자가 나옴
NI를 보면 각각의 우선순위를 볼 수 있다 (cs그냥 보면 드럽게 재미가 없다)
앤듀르 응?(대단하신 분?)
개발 잡지식:Gen AI(Feat:Open AI & LangChain)
- 생성형 AI(generative AI): GPT, GEMINI, LLAMA(텍스트 생성AI)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예시) zep 채팅의 sentiment(감정) classification(분류)
X -> Y(방에 들어 왔는데 총협박) -> negetive(부정)
X -> Y(ㅋㅋㅋㅋㅋㅋ) -> positive(긍정)
랜덤으로 부정인지 긍정인지 확인함 거기서 정답인지 아닌지 확인 틀리면 계속...
업데이트
Large Language Model(큰 언어 모델) LLM
직접 학습 시키기가 어려움
무수히 많은 학습을 시키는 모델
프롬프트
다음의 지침을 따라서 답변하시오(당신은 상대방에게 정확한 답변을 해주는
채팅 봇입니다
예시1 : 미국의 레전드 드라마는?
답변 예시1 : 프렌즈
예시2 : 미국의 레전드 드라마는?
답변 예시2 : 탑건
지침(프롬프트) :너는 챗봇이야.
안전하고 좋은말만 하도록 .
사용자의 질문에 친절하게 대답하도록.